강원대학교 교양교육원
▢ 기초완전정복
▹ 목적
- 고교 교육과정 개편 및 학생 선발 방식의 다양화로 신입생의 기초교육 학력 저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신입생 기초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
- 학생들의 기초 학업역량 향상으로 원활한 전공진입을 돕고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임
▹ 프로그램 운영방법
❍ 내용 : 참여 교과목 성격에 맞게 계획하여 학과 단위로 신청하며 심사를 통해 선발
운영 시기 |
형태 | 내용 | 대상 교과목 |
---|---|---|---|
년간 | 교수자중심형(보충수업형) | ①유형: 담당 교원 또는 개설학과로부터 프로그램 신청을 받아 P.M(가르치미)을 활용하여 보충수업 실시 | 기초도구과목성격의 ‘학문기초’교과목으로 정량적 역량 진단이 가능한 교과목 |
②유형: 교수자가 P.M(가르치미)을 활용하여 교과에 필요한 보충수업 등의 주제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e-루리에 탑재 |
※ P.M.(pace maker) : 지도교수의 관리 하에 교과 후 문제풀이 지도를 실시하는 대학(원)생 선배
❍ 참여 대상 교과목 : 매 학기에 개설될 도구적 성격의 기초교육 교과목※인 ‘학문기초’ 교과목으로써 ‘문제풀이형 교과 연계 보충학습 프로그램’운영이 가능하거나 정량적 역량 진단이 가능한 교과목
- 정규 수업과 연계한 보충학습 실시를 통해 운영 전․후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교과목
- 단일 학과 내 또는 다수 학과 간의 분반 간 표준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거나, 프로그램 참여 시 표준화 운영이 가능한 교과목
※ 한국교양기초교육원 「대학교양기초교육의 표준모델(216)」 : 대학교육에서 기초교육 영역은 크게 사고교육, 의사소통교육, 정보문해교육, 수학 및 기초과학교육 영역으로 구성되며, 대체로 도구적 성격의 과목들로 채워진다.
① 논리학, 수리적 사고, 통계적 사고, 비판적 사고, 창의적 사고
② 글쓰기, 스피치, 토론, 영어 및 제2외국어
③ 정보처리, 소프트웨어
④ 수학, 물리학, 화학, 생물학, 지구과학 등의 과목들이 그것이다.
❍ 운영방법
- 참여 교과목을 주관하는 학과 소속 P.M.이 교과와 연계하여 보충수업 문제풀이 진행
- 정규 또는 비 정규적 몰입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
▢ 기초도구과목 평가시험 실시
▹ 목적
○ 공학․자연계 신입생의 기초도구과목(基礎數學) 학업능력 수준 파악을 통하여 전공 진입에 필요한 다양한 기초역량 제고
▹ 실시방법
○ 매년 공학․자연계 학과를 대상으로 기초도구과목 평가시험 실시 여부 파악
○ 평가시험 참여학과에 입학하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시험 실시
○ 시험실시 기간 : 신입생 입학식 날짜에 진행(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)